로마의 수도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의 수도교는 로마에 깨끗한 물을 공급하고 수인성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건설된 시설이다. 기원전 312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에 의해 최초의 수도교가 계획되었으며, 이후 로마 공화정 시대와 제정 시대를 거치며 기술이 발전하고 규모가 확장되었다. 로마 수도교는 중력을 이용한 효율적인 물 공급 시스템을 갖추었으며, 아치교, 지하 도관, 침사지 등 다양한 기술적 요소를 활용했다. 수도교 건설은 로마의 도시 위생, 농업 생산성 향상, 산업 발전에 기여했으며, 로마 제국 전역으로 기술이 전파되어 유사한 수도망 건설에 영향을 미쳤다. 로마의 수도교는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기술 발전, 사회적 형평성, 공공성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고대 용수로 - 아쿠아 알시에티나
- 로마의 고대 용수로 - 아니오 노부스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에 건설된 아니오 노부스는 아쿠아 클라우디아와 함께 로마 시민들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교로, 아니에네 강 상류를 수원지로 하여 로마로 유입되는 수도교 중 수위가 가장 높았으나 수질은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물 - 물대포
물대포는 화재 진압 및 시위 진압에 사용되는 장비로, 독일에서 처음 등장하여 현재는 원격 조작이 가능하며, 분사 압력과 거리에 따라 효과가 다르며, 과도한 사용은 부상을 초래할 수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 물 - 지하수
지하수는 지구 물 순환의 중요한 부분으로, 전 세계 민물의 20%를 차지하며, 생활, 농업, 산업 용수로 사용되지만, 과다 양수와 오염으로 고갈 위기에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담수 자원이다. - 고대 로마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고대 로마 - 삼두정치
삼두정치는 세 사람이 공동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체제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서 나타났다.
로마의 수도교 | |
---|---|
지도 | |
개요 | |
![]() | |
종류 | 수도교 |
위치 | 고대 로마 및 로마 제국 |
건설 시기 | 기원전 3세기 ~ 서기 5세기 |
사용 목적 | 도시로 물 공급 |
역사 | |
기원 | 고대 로마 |
건설 시기 | 기원전 3세기 ~ 서기 5세기 |
건설 이유 | 인구 증가로 인한 식수 수요 증가 |
주요 건설 시기 | 로마 공화정 시대와 로마 제국 시대 |
기술적 특징 | 중력 이용 아치 구조 콘크리트 사용 |
구조 | |
주요 구조물 | 지하 터널 지상 아치교 저수조 배수관 |
재료 | 돌 콘크리트 벽돌 |
기술 | 경사 유지 기술 수압 조절 기술 방수 기술 |
기능 | |
물 공급 방식 | 수원지에서 도시까지 중력을 이용하여 물을 운반 |
물 분배 | 저수조에서 공공 시설, 개인 주택 등으로 물을 분배 |
수질 관리 | 침전, 여과 등의 방법으로 수질을 관리 |
로마의 주요 수도교 | |
아피아 수도교 | 로마 최초의 수도교 (기원전 312년) |
아니오 베투스 수도교 | 기원전 272년 건설 |
마르시아 수도교 | 로마에서 가장 긴 수도교 (기원전 144년) |
테풀라 수도교 | 기원전 125년 건설 |
율리아 수도교 | 기원전 33년 건설 |
비르고 수도교 | 기원전 19년 건설, 현재까지 사용 |
알시에티나 수도교 | 기원후 2년 건설 |
클라우디아 수도교 | 기원후 52년 건설 |
아니오 노부스 수도교 | 로마에서 가장 높은 수도교 (기원후 52년) |
중요성 | |
사회적 영향 | 도시 위생 개선 인구 증가 촉진 생활 수준 향상 |
경제적 영향 | 공공 시설 운영 농업 생산량 증가 산업 발전 기여 |
문화적 영향 | 로마의 기술력 과시 도시의 상징물 후대 건축에 영향 |
기타 정보 | |
보존 상태 | 일부 수도교는 현재까지 남아 관광 명소로 활용 |
참고 자료 | 로마 관련 서적, 고고학 연구 자료 |
2. 역사적 배경
로마는 기원전 312년까지 샘, 지하수, 시냇물, 우물, 빗물 등으로 물을 공급받았다. 테베레강이 흘렀지만, 수인성 질병의 위험이 있었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는 로마 최초의 수도교인 아피아 수도교를 계획하여 로마인들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하고 수인성 전염병을 방지하고자 했다. 이는 로마 고유의 발명품은 아니었지만, 그리스와 에트루리아의 기술을 참고하여 로마의 풍부한 수량과 잠재성을 바탕으로 건설되었다.[88][89]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상수도 보급은 로마인의 생활에 중요한 부분이 되었고, 도시와 마을의 빌라, 장식, 농지, 공업 등에 사용되며 로마의 부와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 수도교 건설은 로마의 도시 성장, 군사적 확장, 정치적 상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로마 제국 전역에 수백 개의 수도교가 건설되었고, 그중 많은 수가 붕괴되거나 파괴되었지만, 일부는 온전히 남아있다. 자구안 수도교는 92.5km 길이로 2세기에 카르타고(현재의 튀니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남아있는 지방 수도교 교량으로는 프랑스의 퐁 뒤 가르와 스페인의 세고비아 수도교 등이 있다. 단일 도관 중 가장 긴 것은 240km가 넘는 발렌스 수도교와 관련이 있다.[14]
서로마 제국 멸망기 동안 일부 수도교는 적에 의해 의도적으로 파괴되었다. 고트 전쟁 동안 동고트족은 로마를 포위하고, 수도교를 통한 물 공급을 차단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부 수도교가 부분적으로 복구되었지만, 로마의 인구는 크게 감소했다. 르네상스 시대에 교황 니콜라 5세는 아쿠아 비르고의 주요 수로를 개조했고,[80] 세고비아 수도교가 재건되는 등 수도교 건설 기술은 계속 발전했다.
2. 1. 로마 공화정 시대
기원전 312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가 로마인들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하고 수인성 전염병을 방지하기 위해 최초의 수도교인 아피아 수도교를 건설했다.[88][89] 로마는 이전까지 샘, 지하수, 시냇물, 우물, 빗물 등을 이용했으나, 테베레강의 물은 수인성 질병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스와 에트루리아의 기술을 참고한 로마는 풍부한 수량과 잠재성을 바탕으로 상수도 건설에 성공했다.[88][89]아피아 수도교는 지하 구간이 대부분으로, 수온 상승과 증발을 막는 역할을 했다.[91]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이르러 상수도 보급은 로마인의 생활에 중요한 부분이 되었고, 도시와 마을의 빌라, 장식, 농지, 공업 등에 사용되며 로마의 부와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
갈리아 점령 이후 식수원 안정 공급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기원전 312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가 아피아 수도교를 계획했다.[90] 이는 로마의 모든 수도 공급 시스템의 시초가 되었다.
두 번째 수도교인 아니오 베투스는 기원전 272년에 완공되었으며, 아니오 강을 수원으로 했다.[92] 세 번째 수도교인 마르키아 수도교는 기원전 144년에 착공되었으며, 91.64km 길이에 185600m3의 송수량을 자랑했고, 최상급 수질을 제공했다.
기원전 125년에는 테풀라 수도교가 건설되었다. 이후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아그리파는 율리아 수도[93], 비르고 수도[94], 알시에티나 수도[95]를 건설했다. 비르고 수도는 현재까지도 스페인 광장, 트레비 분수 등에 물을 공급하고 있다. 알시에티나 수도는 수질이 나빠 식수로는 사용이 금지되었고, 공업용수로 공급되었다.
로마 제국의 수도교 건설은 로마의 도시 성장, 군사적 확장, 정치적 상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명칭 | 건축년도 | 전장 (km) | 높이 (수원지, m) | 높이 (로마, m) | 송수량 (m³/일) |
---|---|---|---|---|---|
아피아 수도교 | 기원전 312년 | 16.561 | 30 | 20 | 73000m3 |
아니오 베키오 수도교 | 기원전 272년 - 기원전 269년 | 63.640 | 280 | 48 | 61640m3 |
마르치아 수도교 | 기원전 144년 - 기원전 140년 | 91.331 | 318 | 59 | 187600m3 |
테풀라 수도교 | 기원전 125년 | 17.745 | 151 | 61 | 17800m3 |
2. 2. 로마 제정 시대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기에 로마의 수도교 건설이 본격화되면서 로마 시의 물 공급 시스템은 크게 확장되었다. 아우구스투스는 아그리파에게 240여 명의 노예로 구성된 공공사업 기술자 조직을 만들게 하여 수도 시설을 관리하게 했다. 아그리파는 아쿠아 율리아Aqua Iulia|아쿠아 율리아la, 아쿠아 비르고Aqua Virgo|아쿠아 비르고la, 아쿠아 알시에티나Aqua Alsietina|아쿠아 알시에티나la를 건설했다.[93][94][95]율리아 수도교는 로마 시내 동부 지역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고, 비르고 수도교는 아그리파 욕장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기원전 19년에 완공되었다. 비르고 수도교는 마르키아 수도교와 더불어 최상의 수질을 자랑했으며, 현재까지도 스페인 광장, 트레비 분수, 로마 구시가지에 물을 공급하고 있다. 알시에티나 수도교는 기원전 2년에 완공되었는데, 수질이 나빠 식수로는 사용할 수 없었고 주로 공업용수로 사용되었다.
아그리파가 사망한 후, 아우구스투스는 수도교 건설 기술자들의 신분을 기사 계급[96]으로 승격시켜 로마의 건물 관리를 담당하는 부서처럼 만들었다.
칼리굴라 황제의 뒤를 이은 클라우디우스 황제는 서기 52년에 아쿠아 클라우디아Aqua Claudia|아쿠아 클라우디아la와 아니오 노부스Anio Novus|아니오 노부스la 수도교를 완공하여 로마에 총 9개의 수도교가 물을 공급하게 되었다.
오현제 시대의 트라야누스 황제는 아쿠아 트라야나Aqua Traiana|아쿠아 트라야나la 수도교를 건설했고, 카라칼라 황제는 아쿠아 안토니아나Aqua Antoniniana|아쿠아 안토니아나la를 건설했다.
이처럼 황제와 귀족들은 수도교 건설을 통해 자신의 권력과 영향력을 과시했다.
명칭 | 건축년도 | 전장 (km) | 높이 (수원지, m) | 높이 (로마, m) | 송수량 (m³/일) | 기타 |
---|---|---|---|---|---|---|
아피아 수도교 | 기원전 312년 | 16.561 | 30 | 20 | 73,000 | - |
아니오 베키오 수도교 | 기원전 272년 - 기원전 269년 | 63.640 | 280 | 48 | 61,640 | - |
마르치아 수도교 | 기원전 144년 - 기원전 140년 | 91.331 | 318 | 59 | 187,600 | - |
테풀라 수도교 | 기원전 125년 | 17.745 | 151 | 61 | 17,800 | - |
율리아 수도교 | 기원전 33년 | 22.831 | 350 | 64 | 48,240 | - |
아쿠아 비르고 | 기원전 19년 | 20.875 | 24 | 20 | 100,160 | 트레비 분수 |
알시에티나 수도교 | 기원전 2년 경 | 32.815 | 209 | 17 | 15,680 (음용 불가) | - |
아쿠아 클라우디아 | 38년 - 52년 | 68.681 | 320 | 67 | 184,280 | - |
아니오 노부스 수도교 | 38년 - 52년 | 86.876 | 400 | 70 | 189,520 | - |
트라야나 수도교 | 109년 | 32.500 | - | - | - | - |
알렉산드리나 수도교 | 226년 | 22 | - | - | - | - |
2. 3. 로마 제국 시대
로마는 제국 곳곳에 도시를 건설하면서 로마에 공급되던 수도교와 유사한 수도망을 함께 건설하였다. 대표적으로 스페인의 세고비아 수도교, 프랑스 퐁 뒤 가르 등이 있으며, 일부 지역은 복구되어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는 ''로마 고대사''에서 "로마 제국의 놀라운 위대함은 무엇보다도 세 가지, 즉 수도교, 포장 도로, 배수 시설의 건설에서 드러난다."라고 평가했다.[3]수도교 기술이 개발되기 전, 로마인들은 샘, 시냇물, 우물, 빗물 등 지역의 수원에 의존했다.[4]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도시의 성장과 안전을 제한했다. 테베레 강은 가까웠지만 수인성 질병으로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었다. 로마의 수도교는 로마의 발명품은 아니었지만, 에트루리아 문명과 고대 그리스의 물 관리 기술을 활용하여 매우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초기 제정 시대에 이르러 도시의 수도교는 100만 명이 넘는 인구를 지원했으며, 공공 편의 시설을 위한 물 공급은 로마 생활의 기본적인 부분이 되었다.[5]
로마 제국 전역에 수백 개의 수도교가 건설되었다. 그중 많은 수가 붕괴되거나 파괴되었지만, 여러 개의 온전한 부분이 남아있다. 자구안 수도교는 길이가 92.5km에 달하며, 서기 2세기에 카르타고(현재의 튀니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남아있는 지방 수도교 교량으로는 프랑스의 퐁 뒤 가르와 스페인의 세고비아 수도교 등이 있다. 단일 도관 중 가장 긴 것은 240km가 넘는 발렌스 수도교와 관련이 있다.[14]
서로마 제국 멸망기 동안 일부 수도교는 적에 의해 의도적으로 파괴되었다. 537년, 고트 전쟁 동안 동고트족은 로마를 포위하고, 수도교로 작동하는 제분소를 포함하여 도시에 대한 수도 공급을 차단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시의 손상된 일부 수도교가 부분적으로 복구되었지만, 도시의 인구는 크게 감소하고 빈곤해졌다. 5세기 말 - 6세기 초 테오도리크 대왕의 동고트 왕국은 수도교 유지 보수, 수도교 시스템의 수리 및 부분적 확장을 우선시했으며, 전통적인 로마 공중 목욕 문화를 보존했다.[77]
르네상스 시대 동안, 도시의 거대한 석조 수도교의 남아있는 잔해는 건축가, 기술자 및 후원자에게 영감을 주었고, 교황 니콜라 5세는 1453년에 로마 ''아쿠아 비르고''의 주요 수로를 개조했다.[80] 로마의 옛 제국에 있던 많은 수도교가 잘 유지되었다. 15세기에 세고비아 수도교가 스페인의 세고비아에서 재건된 것은 퐁 뒤 가르보다 더 적은 수의 아치를 사용하여 더 높은 높이를 만들고, 원자재 사용에 더 많은 경제성을 나타내는 발전을 보여준다.
로마인들은 제국 내 대도시에 수도교를 건설했다. 오늘날에도 많은 곳에서 그 유적이 남아 있으며, 수도교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곳도 있다.
- 퐁 뒤 가르(Pont du Gard, 프랑스 남부)
- 바르베갈 수도교(Barbegal aqueduct, 프랑스)
- 아이펠 수도교(Eifel aqueduct, 독일)
- 해변의 카이사레아(Caesarea Palaestina, 이스라엘-팔레스타인)
- 세고비아 구시가지와 수도교(Segovia, 스페인)
- 메리다(Mérida, 스페인)
- 타라코 (Tarragona, 스페인)
- 발렌스 수도교(Valens aqueduct, 터키-이스탄불)
- 아우구스타 수도교(Aqua Augusta, 이탈리아)
- 하드리아누스 수도교(Aqueduct of Hadrian, 튀니지)
3. 기술적 측면
로마 수도교는 매우 정교하게 만들어졌으며, 엄밀한 허용 오차 내에서 건축되었다. 일반적인 규격으로는 1킬로미터 당 34센티미터의 경사(1:3000)를 유지했으며, 50킬로미터 거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불과 17미터만 내려갔다. 이는 완전히 중력에만 의존하여 물을 운반하는 매우 효율적인 방식이었다.[81]
대부분의 로마 수도교는 평평한 바닥에 아치형 단면을 가진 도관으로 건설되었으며, 내부 폭은 약 0.7m, 높이는 1.5m 정도였다. 이 도관은 지표면에서 0.5~1m 아래에 위치하여 수온 상승과 증발을 막고, 동물의 사체로 인한 오염과 적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했다.[91] 도관은 정기적인 간격으로 점검 및 접근 덮개가 설치되어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했다.[31] 초기 도관은 애쉬러로 건축되었지만, 공화정 말부터는 벽돌로 마감된 콘크리트가 주로 사용되었다. 도관 내벽에는 방수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매끄럽게 마감하여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했다.[32]
물의 흐름은 중력에만 의존했으며, 도관 내부에서 운반되는 물의 양은 유역의 수문학(강수량, 흡수, 유출), 도관의 단면, 그리고 경사에 따라 달라졌다. 대부분의 도관은 2/3 정도 채워져 운행되었다.[32] 비트루비우스는 침식과 수압으로 인한 구조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수로의 경사를 1/4800 이상으로 낮출 것을 권장했는데, 이는 현존하는 석조 수도교의 측정된 경사와 거의 일치한다. 퐁 뒤 가르의 경우 1km당 34cm의 경사를 가지며, 전체 길이에서 수직으로 17m만 내려간다. 퐁 뒤 가르는 하루에 최대 20,000㎥의 물을 운반할 수 있었다.[33]
영구 도관에서 급격한 경사를 피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로를 계단식으로 낮추거나, 넓히거나, 수조에 방류하여 물의 흐름을 분산시키고 마모력을 줄였다. 계단식 폭포와 낙차는 물에 산소를 공급하여 물을 "새롭게" 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34] 특히 깊거나 긴 함몰부를 가로질러야 하는 경우 아치교 대신 역 사이펀을 사용할 수 있었다. 사이펀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납땜된 납으로 만들어졌으며, 때로는 콘크리트 케이스나 석재 슬리브로 보강되었다.[35]
로마 수도교는 고도의 건축 기술뿐만 아니라, 우연한 고장이나 퇴적물의 청소, 탄산 칼슘 석출물 제거를 위한 포괄적인 유지 보수 시스템을 필요로 했다.
3. 1. 수원 및 측량
로마인들은 수도교 건설을 위해 수원(샘, 강, 호수 등)을 찾고, 수도교 경로를 신중하게 측량했다.샘은 수도관 물의 가장 일반적인 수원이었으며, 로마의 물 공급량 대부분은 아니오 계곡과 그 고지대의 다양한 샘에서 나왔다. 흩어져 있는 샘들은 여러 개의 지선 도관이 주수로로 연결되어야 했다. 일부 시스템은 댐으로 막은 개방형 저수지에서 물을 끌어왔다.[24]
수도교가 지나가는 지역은 전체 거리에 걸쳐 물이 일정하고 허용 가능한 속도로 흐르도록 주의 깊게 측량해야 했다.[25] 로마 기술자들은 다양한 측량 도구를 사용하여 풍경을 가로지르는 수도교의 경로를 계획했다. 수평 레벨을 확인하기 위해 약 20피트 길이의 평평한 나무 프레임에 수위와 추선을 모두 장착한 ''코로바테스''를 사용했다. 수평 경로와 각도는 비교적 단순한 장치인 ''그로마''를 사용하여 계획할 수 있었으며, 이는 결국 현대의 수준기의 전신인 더 정교한 다이옵트라로 대체되었다. 비트루비우스는 De architecturala의 8권에서 지속적인 물 공급을 보장할 필요성, 탐사 방법, 식수에 대한 테스트에 대해 설명한다.
수도교 건설 계획은 공공 또는 사설 여부를 막론하고 시민 당국의 조사를 받아야 했다. 제안이 다른 시민들의 물 사용 권리를 존중하는 경우에만 허가가 주어졌다. 전체적으로 로마 공동체는 필요에 따라 공유된 수자원을 할당하는 데 주의를 기울였다.[18][19]
3. 2. 수로 및 경사
대부분의 로마 수도교는 평평한 바닥에 아치형 단면을 가진 도관으로, 내부 폭은 약 0.7m, 높이는 1.5m 정도였으며, 지표면에서 0.5~1m 아래에 위치하고 정기적인 간격으로 점검 및 접근 덮개가 있었다.[31] 지상 도관은 보통 석판으로 덮여 있었다. 초기 도관은 애쉬러로 건축되었지만, 공화정 말부터는 벽돌로 마감된 콘크리트가 종종 사용되었다. 도관 내벽에 사용된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방수 처리되었으며, 매우 매끄럽게 마감되었다. 물의 흐름은 중력에만 의존했다. 도관 내부에서 운반되는 물의 양은 유역의 수문학(강수량, 흡수, 유출), 도관의 단면, 그리고 경사에 따라 달라졌으며, 대부분의 도관은 2/3 정도 채워져 운행되었다. 도관의 단면은 유지 보수 요구 사항에 따라 결정되기도 했다. 작업자는 구조에 최소한의 지장을 주면서 전체 도관에 들어가 접근할 수 있어야 했다.[32]비트루비우스는 침식과 수압으로 인한 구조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수로의 경사를 1/4800 이상으로 낮출 것을 권장한다. 이 값은 현존하는 석조 수도교의 측정된 경사와 잘 일치한다. 퐁 뒤 가르의 경사는 1km당 34cm에 불과하며, 전체 길이에서 수직으로 17m만 내려간다. 퐁 뒤 가르는 하루에 최대 20,000㎥의 물을 운반할 수 있었다. 수력 채광에 사용된 임시 수도교의 경사는 웨일스의 돌라우코티(최대 경사 약 1:700)와 스페인 북부의 라스 메둘라스에서 볼 수 있듯이 상당히 클 수 있었다. 영구 도관에서 급격한 경사를 피할 수 없는 경우, 수로를 계단식으로 낮추거나, 넓히거나, 물의 흐름을 분산시키고 마모력을 줄이기 위해 수조에 방류할 수 있었다.[33] 계단식 폭포와 낙차를 사용하면 물에 산소를 공급하여 물을 "새롭게" 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34]
일부 수도교 도관은 아치교라고도 알려진 석조, 벽돌 또는 콘크리트의 여러 기둥 아치 위에 계곡이나 움푹 들어간 곳을 가로질러 지지되었다. 특히 깊거나 긴 함몰부를 가로질러야 하는 경우 아치교 대신 역 사이펀을 사용할 수 있었다. 도관은 헤더 탱크로 물을 공급했고, 헤더 탱크는 파이프로 물을 공급했다. 파이프는 낮은 "배" 다리에 의해 지지되어 낮은 수준에서 계곡을 가로질러 이동한 다음 약간 낮은 고도의 수신 탱크로 올라갔다. 이것은 다른 도관으로 배출되었다. 전체 기울기는 유지되었다. 사이펀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납땜된 납으로 만들어졌으며, 때로는 콘크리트 케이스나 석재 슬리브로 보강되었다. 드물게 파이프는 수컷과 암컷으로 연결되고 납으로 밀봉된 석재 또는 세라믹이었다.[35]
비트루비우스는 사이펀의 건설과 막힘, 파열 및 가장 높은 수준의 환기 문제를 설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이펀은 잘 구축되고 잘 유지된다면 다재다능하고 효과적이었다. 기에 수도교의 고압 사이펀 튜빙의 수평 부분은 콘크리트로 케이싱된 9개의 병렬 납 파이프를 사용하여 항해 가능한 강을 통과하기 위해 다리 위에 경사로를 설치했다.[36][37] 현대 수력학 수력 엔지니어는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여 하수도와 수도관이 함몰부를 가로지르도록 한다.
수도 시설을 구성하는 건축물에는 지하 또는 지상의 도수거 외에, 도수거를 얹기 위한 연속 아치 구조의 수로교, 불순물을 침전 제거하는 침사지, 말단의 분수 시설 (카스텔룸 아쿠아에) 등이 있었다. 이러한 시설은 석재, 로마 콘크리트 및 벽돌을 사용하여 건설되었으며, 수밀성을 높이기 위해 도수거 내면[83] 등에는 수경성 시멘트[84]도 사용되었다.
3. 3. 관리 및 유지 보수
로마의 수도교는 정기적인 유지 보수를 위한 포괄적인 시스템을 필요로 했다. 표준적인 매설된 도관에서는 정기적으로 점검 및 접근 지점을 제공하여 의심되는 막힘이나 누수를 공급에 대한 최소한의 지장으로 조사할 수 있었다. 매설된 도관 벽에서 발생하는 여러 작은 누수를 통해 손실되는 물은 자연 지하수와 달리 신선한 맛으로 감지하기 어려웠다.[40] 지하 및 지상 도관의 구조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명확한 통로는 불법적인 경작, 식목, 도로 및 건물에 대해 정기적으로 순찰되었다. 프론티누스는 그의 저서 ''수도교에 관하여''에서, 나무 뿌리에 의한 도관 침투가 특히 피해를 많이 준다고 설명한다.[41]작업 순찰대는 조류 오염을 제거하고, 우발적인 파손이나 접근 가능한 조잡한 솜씨를 수리하고, 도관에서 자갈 및 기타 느슨한 잔해를 제거하고, 경수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시스템의 탄산 칼슘(석회화퇴적물이라고도 함)의 축적물을 제거했을 것이다. 현대 연구에 따르면, 석회화퇴적물에 의해 수로의 이상적인 매끄러운 모르타르 내부 표면이 약간 거칠어지기만 해도, 구멍이 좁아지는 것과는 별개로, 물의 속도를 최대 1/4까지 크게 감소시키고, 따라서 흐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42] 사이펀 내부의 축적물은 이미 좁은 직경을 통해 유량을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일부는 로딩 아이로 사용되었을 수 있는 밀봉된 구멍을 가지고 있었을 수 있으며, 아마도 당김 장치를 사용했을 것이다. 로마에서는 경수 공급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주 급수관이 접근 용이성을 위해 도로 연석 아래에 얕게 매설되었으며, 이러한 파이프에 탄산 칼슘이 축적되어 자주 교체해야 했을 것이다.[43]
수리 목적으로 어떤 수도교라도 완전히 폐쇄하는 것은 드문 일이었으며, 가능한 한 짧게 유지되었고, 수리 중단은 겨울철과 같이 물 수요가 가장 낮을 때 선호되었다.[44]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작은 또는 지역적 수리가 필요할 때 ''카스텔라''에서 선택적으로 줄이거나 차단할 수 있었지만, 수도교 도관 자체에 대한 상당한 유지 보수 및 수리는 샘물 자체를 포함하여 상류의 모든 지점에서 물을 완전히 우회해야 했다. 프론티누스는 수리하는 동안 물 공급을 최소한으로 손실하면서 손상된 구간을 우회하기 위해 임시 납 도관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45]
수도관은 ''castellum aquae''("물 성")로 연결되었다. 이 파이프는 25가지 표준화된 직경으로 제작되었으며 청동 꼭지가 장착되었다. 각 파이프(''calix'')의 흐름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열거나 차단할 수 있었으며, 필요하다면 일시적으로 물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시스템의 다른 부분으로 공급을 전환할 수 있었다. 공공 분지 및 음수대에는 로마 시민을 대신하여 모든 목욕객에게 매우 적은 요금이 부과되는 공중 목욕탕에 대한 공급보다 물이 우선적으로 공급되었다. 분지 및 욕탕에 대한 공급은 유료 개인 사용자의 요구 사항보다 우선시되었다.[49]

프론티누스는 부정직한 개인 사용자들과 부패한 공무원들이 로마에서 물의 손실과 도난의 대부분, 그리고 수도교의 최악의 피해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의 ''De aquaeductu''는 유용한 기술 매뉴얼, 설득력 있는 문학적 기술의 과시, 그리고 물을 훔치면 발각될 것이라는 사용자 및 그의 직원들에 대한 경고로 읽을 수 있다. 왜냐하면 그는 모든 관련 전문가의 계산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얼마나 많은 물이 도난되었는지뿐만 아니라 어떻게 도난되었는지도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52] 실제로 조작과 사기는 흔했다. 방법에는 무면허 또는 추가 배출구 설치, 일부는 도시에서 수 마일 떨어진 곳에 설치, 납 파이프 불법 확장 등이 포함되었다. 이 중 일부는 부도덕한 수도 관리자 또는 작업자의 뇌물 수수 또는 묵인과 관련될 수 있었다. 고고학적 증거는 일부 사용자가 불법적으로 물을 끌어올렸지만 관련된 가능성 있는 양과 도시 전체에 대한 공급에 미치는 가능성 있는 결합된 영향은 확인하지 못했다. 허용량 측정은 기본적으로 결함이 있었다. 공식적으로 승인된 납 파이프에는 파이프의 제조자, 설치자, 그리고 아마도 구독자와 그들의 자격에 대한 정보가 담긴 비문이 새겨져 있었다. 그러나 물 허용량은 공급 지점에서 퀴나리아(파이프의 단면적)로 측정되었으며 속도, 유량 또는 실제 사용량의 변화를 설명하는 공식이나 물리적 장치는 사용되지 않았다.[53][54][55]
공화정 시대에는 수도교가 감찰관의 권한 하에 계획, 건설 및 관리되었으며, 감찰관이 없는 경우에는 시정관이 관리했다. 제정 시대에는 물 공급에 대한 평생의 책임이 황제에게 넘어갔다. 로마는 아우구스투스가 수도 관리관(''쿠라토르 아쿠아룸'') 직책을 만들 때까지 수도교를 관리하는 영구적인 중앙 기구가 없었다. 이는 높은 지위와 주목을 받는 황제의 임명이었다. 서기 97년, 이미 집정관, 장군, 속주 총독으로서 뛰어난 경력을 쌓았던 프론티누스는 황제 네르바 치하에서 집정관과 ''쿠라토르 아쿠아룸''을 겸임했다.[57]
황제 클라우디우스 치하에서 로마 시의 황실 ''아쿠아리이''(수도교 기술자)의 분견대는 황실의 지원과 사적 가입자들이 지불한 물 요금을 결합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노예와 자유인 460명으로 구성된 ''파밀리아 아쿠아룸''을 구성했다. ''파밀리아 아쿠아룸''은 "감독자, 저수지 관리인, 노선 순찰자, 포장공, 미장공 및 기타 작업자"[59]로 구성되었으며, 황실 해방 노예가 ''프로쿠라토르 아쿠아리움''으로 재직하며 감독했다. ''쿠라토르 아쿠아룸''은 건축가, 공무원, 공증인 및 서기, 전령으로 구성된 팀의 지원을 받아 물 공급과 관련하여 사법권을 가졌으며, 도시 외에서 활동할 때는 그의 권한을 행사하기 위해 두 명의 ''lictor''를 추가로 가질 자격이 있었다.[60] 수도교 관련 법규 위반에 대해서는 단 한 번의 위반에 대해서도 상당한 벌금이 부과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나무가 도관을 손상시키는 것을 허용한 경우 10,000세스테르티우스, 도관 내의 물을 오염시키거나 자신의 노예가 같은 행위를 하도록 허용한 경우 100,000세스테르티우스가 부과되었다.[61]
4. 사회문화적 의의
로마의 수도교는 단순한 공학적 성과를 넘어 로마 사회, 문화, 경제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가 최초의 수도교를 건설한 이래, 수도교는 로마 시민들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하여 수인성 전염병을 예방하고 도시 위생을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88][89]
아우구스투스에서 네로 황제 시기에 이르러, 수도교는 100만 명이 넘는 로마 시민들의 생활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수도교를 통해 공급된 물은 도시와 마을의 빌라, 도시 장식, 교외, 시장, 농지, 공업 등에 사용되었고, 이는 다시 하수도로 배출되어 로마의 부와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동력이 되었다.[5]
로마의 첫 번째 수도교는 낮은 압력으로 무역 중심지이자 가축 시장에 물을 공급했다. 대부분의 로마인들은 분지에서 물을 길어 사용했지만, 점차 도시 곳곳에 크고 잘 갖춰진 공중 목욕탕과 분수가 건설되면서 로마 문명의 상징이자 중요한 사회적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62][63] 마르쿠스 아그리파는 170개의 공중 목욕탕을 건설하거나 보조금을 지급했으며,[65] 프론티누스 시대에는 로마 수도교 물의 약 10%가 591개의 공공 분수에 공급되었다.[52] 4세기 말에는 로마 시내의 수도교가 11개의 대형 공중 목욕탕, 965개의 소규모 공중 목욕탕, 1,352개의 공공 분수에 물을 공급할 정도였다.[67]
이처럼 수도교는 로마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농업과 산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했다.
4. 1. 도시 위생과 공중 보건
로마는 기원전 312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가 로마인들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하고 수인성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최초의 수도교를 건설했다. 수도교 건설 이전 로마는 샘, 지하수, 시냇물, 우물, 빗물 등에 의존했다. 테베레강이 흘렀지만 수인성 질병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었다. 하수도('''cloaca''')가 상수도보다 먼저 건설되어 빗물과 오염물질을 강으로 배출했다. 로마는 그리스와 에트루리아의 기술을 참고하여 상수도 건설을 로마 고유의 발명품으로 발전시켰다.[88][89]로마 제국의 수도교는 도시의 100만 명이 넘는 인구를 지원했으며, 공공 편의 시설에 물을 공급하여 로마 생활의 기본적인 부분이 되었다.[5] 수도교의 물은 도시와 마을의 빌라, 도시 장식, 교외, 시장, 농지, 공업 등에 쓰이고 하수도로 배출되어 로마의 부와 경제 성장의 동력원이었다.
그리스와 로마 의사들은 고인 물이나 오염된 물과 수인성 질병의 연관성을 알고 있었고, 빗물을 가장 순수하고 건강한 물로 여겼다.[26] 켈수스는 공중 목욕이 낫지 않은 상처에 괴저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26] 프론티누스는 높은 배출율이 수돗물 공급, 하수도, 사람들의 위생 상태를 개선한다고 보았다.
납의 유해한 건강 영향은 잘 알려져 있었고, 도기 파이프가 식수에 선호되었다. 로마 수도관의 물에 함유된 납의 양은 측정 가능했지만, 해로웠을 가능성은 낮았다.[29] 그럼에도 납 수준은 지역 샘물보다 100배 높았다.[30]
수도관은 공공 배급 터미널인 ''castellum aquae''("물 성")로 연결되어 다양한 지선과 지선에 물을 공급했다. 공공 분지와 음수대는 공중 목욕탕보다 우선적으로 물을 공급받았고, 유료 개인 사용자는 그 다음이었다.[49]
프론티누스는 부정직한 개인 사용자와 부패한 공무원이 물 손실과 도난의 책임이 있다고 생각했다. 조작과 사기는 흔했으며, 무면허 배출구 설치, 납 파이프 불법 확장 등이 있었다.
로마의 첫 번째 수도교(기원전 312년)는 낮은 압력으로 무역 중심지이자 가축 시장에 물을 방출했다. 대부분의 로마인은 분지에서 물을 채워 사용했고, 부유한 사람들은 노예를 시켰다. 넘치는 물은 하수구를 통해 테베레 강으로 흘러갔다. 이 당시 로마에는 공중 목욕탕이 없었고, 첫 번째 목욕탕은 다음 세기에 건설되었을 것이다. 수도교의 물이 도시의 높은 고도로 옮겨지자 크고 잘 갖춰진 공중 목욕탕과 분수가 건설되었다. 공중 목욕탕과 분수는 로마 문명의 특징이 되었고, 목욕탕은 중요한 사회적 중심지가 되었다.[62][63]
대부분의 로마 도시 주민들은 아파트 건물(''인술라'')에 살았고, 일부 건물에서만 물 서비스를 제공했다. 제국 시대에 납 생산은 제국의 독점이 되었고, 수도교에서 개인 용도로 물을 끌어갈 권한은 황제의 특권이 되었다.[64] 기원전 33년, 마르쿠스 아그리파는 170개의 공중 목욕탕을 건설하거나 보조금을 지급했다.[65] 프론티누스 시대(서기 40–103년경)에는 로마 수도교 물의 약 10%가 591개의 공공 분수에 공급되었다.[52] 서기 4세기 말까지 로마 시내의 수도교는 11개의 대형 공중 목욕탕, 965개의 소규모 공중 목욕탕, 1,352개의 공공 분수에 물을 공급했다.[67]
로마 수도교는 고도의 건축 기술과 포괄적인 유지 보수 시스템을 필요로 했다.
4. 2. 농업 생산성 향상
로마 제국 인구의 65~90%가 농업에 종사했으며, 물은 지중해 세계 농업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였다.[68] 로마 이탈리아의 샘, 시내, 강, 호수 등 자연 담수원은 어떤 곳에서는 풍부했지만 다른 곳에서는 전혀 없었고, 강우량은 예측 불가능했다. 물은 따뜻하고 건조한 여름 성장기에 가장 필요했지만 부족해지는 경향이 있었다.[68] 콜루멜라는 모든 농장이 "결코 실패하지 않는" 샘, 시내 또는 강을 포함해야 한다고 권장했지만,[69] 모든 농장이 그런 것은 아니라고 인정했다.여름에 믿을 만한 물 공급원이 없는 농지는 사실상 가치가 없었다. 성장기 동안 "소규모 지역" 관개 시스템은 로마 시만큼의 물을 소비할 수 있었고, 밭을 비옥하게 하는 가축의 배설물은 일년 내내 먹이를 주고 물을 주어야 했다. 로마의 토지 소유주와 농부들은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도교 물에 의존했지만, 수도교 물이 얼마나 사용되었는지는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도시 수도교 건설로 꽃(향수 및 축제 화환용), 포도, 채소, 과수원 과일과 같은 깨지기 쉽고 부패하기 쉬운 상품과 돼지, 닭과 같은 소규모 가축의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교외 시장 농업이 성장했다.[70]
공공 수도교 근처 농부들은 검사 해치를 통해 도관에 넣은 양동이를 사용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에 관개용으로 지정된 양의 수도교 물을 면허 하에 끌어올 수 있었다. 이는 경사 아래의 사용자에게 물 공급 고갈을 제한하고, 물이 가장 필요하고 부족할 때 경쟁자 간의 공정한 분배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었다.[68] 농지에서 수도교 물을 사용할 수 있는 면허를 받으면 생산성이 향상되고 잉여 식량 판매를 통해 현금 수입이 발생하며 토지 자체의 가치가 상승할 수 있었다.
시골에서는 관개용으로 수도교 물을 끌어올 수 있는 허가를 받기가 특히 어려웠다. 그러한 권리의 행사와 남용은 다양한 법적 분쟁과 판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정치 캠페인의 대상이 되었다. 기원전 184년 카토는 모든 불법적인 농촌 출구, 특히 토지 귀족이 소유한 출구를 막으려 했다. "그가 물을 끌어오는 땅을 얼마나 비싸게 샀는지 보라!"[71] 카토의 개혁 시도는 기껏해야 일시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불법적인 도청은 불법적으로 물을 대는 토지와 그 생산물을 포함한 자산 압류로 처벌될 수 있지만, 이 법은 한 번도 사용된 적이 없는 것으로 보이며 아마도 실행 불가능했을 것이다. 물 절도는 농부들에게 이익을 주었지만, 식량 잉여를 만들고 식량 가격을 낮출 수도 있었다. 특히 곡물 부족은 기근과 사회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모든 실질적인 해결책은 도시 인구의 물 수요와 곡물 생산자의 수요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고, 후자의 이윤에 세금을 부과하며, 로마 빈민(소위 "곡물 배급")과 군대를 위해 적절한 비용으로 충분한 곡물을 확보해야 한다. 당국은 생산적이지 않고 시행할 수 없는 금지를 부과하는 대신 개별적인 물 공급 허가와 면허를 발급하고, 다양한 성공을 거두었지만 물 출구를 규제했다. 서기 1세기, 대 플리니우스는 카토처럼 공공 물과 공공 토지로부터 이윤을 계속 얻는 곡물 생산자들에게 비난을 가할 수 있었다.[72]
일부 토지 소유주는 자신의 토지가 아닌 멀리 떨어진 샘에 대한 물 접근 권한을 구입하여 그러한 제한과 얽힘을 피했다. 부와 지위가 높은 소수의 사람들은 그러한 물을 원천에서 밭이나 별장으로 운반하기 위해 자체 수도교를 건설했다. 무미우스 니게르 발레리우스 베게투스는 이웃으로부터 샘과 물에 대한 권리를 구입하고, 그 사이의 토지 통로에 대한 접근 권한을 구입한 다음, 약 10킬로미터의 수도교를 건설하여 샘에서 자신의 별장으로 연결했다.[73]
4. 3. 산업 발전
아우구스투스에서 네로 황제 시기, 로마 제국의 수도교는 도시와 마을의 산업에 물을 공급하여 로마의 부와 경제를 성장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5]수도교는 다음과 같은 산업 시설에 물을 공급했다.
- 광업: 수력 채광에 물을 사용하여 덮개를 제거하고 허싱으로 광석을 노출시켰다. 불 지르기로 가열되고 약해진 금속 함유 암석을 부수고 씻어내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 광석 처리: 스탬프와 트립 해머를 구동하여 광석을 처리하고 분쇄했다.
- 제철: Hadrian's wall 남쪽 Lanchester 근처 Longovicium에서는 물 공급을 철을 단조하기 위한 트립 해머를 구동하는 데 사용했을 수도 있다.
- 제분: 로마 갈리아의 Barbegal에서는 저수지에서 아를 지역의 밀가루를 갈기 위한 15~16개의 오버샷 수차 연쇄를 구동하는 수도교로 물을 공급했다. 로마의 아쿠아 트라리아나는 Janiculum에서 밀가루 공장을 구동했다. 카라칼라 욕장의 지하실에 있는 공장은 수도교의 물넘침에 의해 구동되었다.
Dolaucothi와 Las Medulas와 같은 광산은 여러 개의 수도교를 통해 물을 공급받았다. 5세기에는 법으로 수도교 물을 제분에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다.[76]
5.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 섹션은 작성할 수 없다.
참조
[1]
서적
Gardens and Neighbors: Private Water Rights in Roman Ital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9
[2]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and Rome, Volume 1
[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4]
서적
Ancient Water Technologies
Springer
2010
[5]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and Rome, Volume 1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6]
문서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https://penelope.uch[...]
Oxford University
1929
[7]
서적
The Aqueducts of Rome
[8]
서적
The Aqueducts of Rome
[9]
문서
The Aqueducts of Rome
https://penelope.uch[...]
[10]
웹사이트
The Aqueducts
https://www.maquette[...]
2017-09-17
[11]
문서
Tiber River bridg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ancient city of Rome
http://www3.iath.vir[...]
2002
[12]
서적
Roman Aqueducts and Water Supply
Duckworth Archaeology
2002
[13]
문서
1991
[14]
문서
1995
[15]
웹사이트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Context Constantinople and the longest Roman aqueduct
http://www.shca.ed.a[...]
2016-08-28
[16]
간행물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Augustan Aqueduct in Southern Italy: twenty centuries of works from Serino to Naples
2007-03
[17]
논문
Military Aqueducts in Roman Britain
1985
[18]
서적
Gardens and Neighbors: Private Water Rights in Roman Ital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9
[19]
서적
Public Needs and Private Pleasures
L'Erma di Bretschneider
2000
[20]
문서
Frontinus, 2:129.9
https://penelope.uch[...]
[21]
서적
Public Needs and Private Pleasures
L'Erma di Bretschneider
2000
[22]
서적
Public Needs and Private Pleasures
L'Erma di Bretschneider
2000
[23]
문서
Romanaqueducts
http://www.romanaque[...]
[24]
서적
Ancient Water Technologies
Springer
2010
[25]
간행물
Rome's Lost Aqueduct
2012
[26]
문서
Celsus De Medicina, 2, 28.(Loeb)
https://penelope.uch[...]
[27]
웹사이트
Vindolanda Trust website
https://www.vindolan[...]
2022-09-10
[28]
간행물
The Aqueducts and Water Supply of Ancient Rome
https://doi.org/10.1[...]
2020-01/02
[29]
웹사이트
Lead Poisoning and Rome
http://penelope.uchi[...]
2013-05-21
[30]
논문
Lead in ancient Rome's city waters
2014-05-06
[31]
서적
Roman Aqueducts and Water Supply
Duckworth Archaeology
2002
[32]
서적
Roman Aqueducts and Water Supply
2002
[33]
서적
Ancient Water Technologies
Springer
2010
[34]
논문
Hydraulics of Roman Aqueducts: Steep Chutes, Cascades, and Drop Shafts
2000
[35]
서적
Roman Aqueducts and Water Supply
Duckworth Archaeology
2002
[36]
웹사이트
Vitruvius, 8.6.5-6, trans Gwilt
https://penelope.uch[...]
penelope.uchicago.edu
[37]
서적
Ancient Water Technolog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
[38]
서적
Public Needs and Private Pleasures: Water Distribution, the Tiber River and the Urban Development of Ancient Rome
L'Erma di Bretschneider
2000
[39]
문서
The Aqua Augusta
2010
[40]
웹사이트
Frontinus, Book 2:65
https://penelope.uch[...]
penelope.uchicago.edu
[41]
서적
Public Needs and Private Pleasures
[42]
문서
2015
[43]
서적
Public Needs and Private Pleasures: Water Distribution, the Tiber River and the Urban Development of Ancient Rome
L'Erma di Bretschneider
2000
[44]
서적
Roman Aqueducts and Water Supply
Duckworth Archaeology
2002
[45]
웹사이트
Frontinus, 2:124
https://penelope.uch[...]
penelope.uchicago.edu
[46]
서적
Rome and its environs
2007
[47]
논문
The Aqua Claudia Interruption
https://www.jstor.or[...]
2009
[48]
서적
From Nero to Trajan
L'Erma di Bretschneider
2000
[49]
문서
de Architectura
[50]
서적
Guide to the Aqueducts of ancient Rome
Bolchazy-Carducci Publishers, Inc.
1995
[51]
논문
Fresh Water in Roman Law: Rights and Policy
2017-08-18
[52]
문서
2015
[53]
서적
Roman Aqueducts and Water Supply
Duckworth Archaeology
2002
[54]
문서
Only a single, damaged and probably corrupted MS copy of Frontinus' work has survived. Frontinus may have overemphasised the likely role of theft to shift attention from his own poor grasp of the problems involved in estimations of flow measurement and water loss.
2015
[55]
서적
Water Distribution in Ancient Rome: The Evidence of Frontinu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7
[56]
문서
1991
[57]
서적
Roman Aqueducts and Water Supply
Duckworth Archaeology
2002
[58]
문서
The Aqua Augusta
2010
[59]
논문
The Aqueducts and Water Supply of Ancient Rome
Wiley-Blackwell online open
2020-01
[60]
서적
Public Needs and Private Pleasures: Water Distribution, the Tiber River and the Urban Development of Ancient Rome
L'Erma di Bretschneider
2000
[61]
웹사이트
Frontinus, 2:129
https://penelope.uch[...]
penelope.uchicago.edu
[62]
서적
Bathing in Public in the Roman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9
[63]
서적
Roman Aqueducts and Water Supply
Duckworth Archaeology
2002
[64]
서적
Public Needs and Private Pleasures: Water Distribution, the Tiber River and the Urban Development of Ancient Rome
L'Erma di Bretschneider
2000
[65]
서적
Bathing in Public
1999
[66]
논문
"Terminal Display Fountains (""Mostre"") and the Aqueducts of Ancient Rome"
https://www.jstor.ht[...]
Classical Association of Canada
1993
[67]
서적
The seven hills of Ro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68]
서적
Gardens and Neighbors
2009
[69]
웹사이트
De Re Rustica, Book 1, English translation at Loeb Classical Library
https://penelope.uch[...]
[70]
서적
Gardens and Neighbors
2009
[71]
서적
Fresh Water in Roman Law: Rights and Poli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8-18
[72]
서적
Gardens and Neighbors
2009
[73]
서적
Gardens and Neighbors
2009
[74]
간행물
"Machines, Power and the Ancient Economy"
2002
[75]
서적
"Millstone and Hammer: the Origins of Water Power"
Hull Academic Press
1998
[76]
서적
Roman Aqueducts and Water Supply
Duckworth Archaeology
2002
[77]
서적
A Companion to Ostrogothic Italy
Brill
2016
[78]
간행물
"Decay and Renaissance Revival"
https://doi.org/10.1[...]
The Groundwater Association
2020-01/02
[79]
서적
Travels and Adventures (1435–1439)
http://depts.washing[...]
Harper & brothers
1926
[80]
서적
Rome in the Age of Enlightenment: the Post-Tridentine syndrome and the ancien regi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1]
문서
1世紀から2世紀にかけて、[[歴史上の推定都市人口]]より人口100万人
[82]
웹사이트
東京都 もっと知りたい「水道」のこと H21年
https://www.waterwor[...]
[83]
웹사이트
文明と水は深い絆
https://pub.nikkan.c[...]
[84]
웹사이트
Aqueduct Architecture: Moving Water to the Masses in Ancient Rome
http://www.yale.edu/[...]
[85]
웹사이트
世界の水歴史
http://xn--n8jaq7c81[...]
[86]
논문
元首政期ローマにおける : 「都市の健全性」と公衆浴場
https://doi.org/10.1[...]
大阪大学西洋史学会
2014-02
[87]
논문
都市道路堆積物中の鉛の発生起源とその流出挙動に関する研究
https://doi.org/10.1[...]
2007
[88]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and Rome, Volume 1
[89]
서적
로마인 이야기
[90]
문서
아피우스는 도로도 건설하였는데 바로 유명한 아피아 가도이다. 그리고 이 사람의 영향에 따라 로마는 건설 총책임자의 이름을 도로나 수도관의 명칭으로 쓴다.
[91]
서적
로마인이야기 10권 320쪽~ 323쪽
[92]
문서
이 수도는 비가 오거나 하면 쉽게 탁토가 심해져서 주로 조경용수나 분수용으로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
[93]
문서
율리아 수도
[94]
문서
비르고 수도
[95]
문서
알시에티나 수도
[96]
문서
지금으로 치면 기업가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